N, M = map(int,input().split())
rice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
cut = max(rice)
customer = 0
while customer != M:
customer = 0
for i in rice:
if i <= cut:
continue
else :
customer += i - cut
print(cut, customer)
if customer != M:
cut -= 1
print(cut)
N, M = map(int,input().split())
rice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
longest = []
def binary_search(target, min, max):
sum = 0
if min > max:
return
mid = (min+max)//2
for i in rice:
if i > mid:
sum += i-mid
if sum >= target:
longest.append(mid)
return binary_search(target, mid+1, max)
else :
return binary_search(target, min, mid-1)
binary_search(M,0,max(rice))
print(longest, max(longest))
# 떡의 개수(N)와 요청한 떡의 길이(M)을 입력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# 각 떡의 개별 높이 정보를 입력
arr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# 이진 탐색을 위한 시작점과 끝점 선언
start = 0
end = max(arr)
# 이진 탐색 수행(반복적)
result = 0
while start <= end:
total = 0
# mid : 큰 범위에서 탐색시간을 줄이기 위해 중간값을 기준.
mid = (start + end) // 2
for i in arr:
# 잘랐을 때의 떡의 양 계산
if i > mid:
total += x - mid
#떡의 양이 부족한 경우 더 많이 자르기 (왼쪽 부분 탐색)
if total < m:
end = mid - 1
#떡의 양이 충분한 경우 덜 자르기(오른쪽 부분 탐색)
else:
result = mid # 최대한 덜 잘랐을 때가 정답이므로, 여기에서 result에 기록
start = mid +1
# 정답 출력
print(result)
[Python] 다이나믹 프로그래밍(1) - 개요 (0) | 2022.06.22 |
---|---|
[Python] 이진 탐색 알고리즘(3) - 정렬된 배열에서 특정 수의 개수 구하기 (0) | 2022.06.20 |
[Python] 이진 탐색 알고리즘(1) 개요 (0) | 2022.06.19 |
[Python] 정렬 알고리즘(7) - 두 배열의 원소 교체 (0) | 2022.06.19 |
[Python] 정렬 알고리즘(6) - 정렬 알고리즘 비교하기 (0) | 2022.06.19 |
댓글 영역